주식

인트론바이오 슈퍼박테리아 신약 3종 미국 특허 출원 및 차트 분석

Tubeking 2025. 7. 3. 10:39
반응형

인트론바이오 슈퍼박테리아 신약 3종 미국 특허 출원 및 차트 분석
인트론바이오 슈퍼박테리아 신약 3종 미국 특허 출원 및 차트 분석

📌 목차

인트론바이오가 개발한 슈퍼박테리아 대응 신약 3종(GN200, SAL200, PKL200)은 기존 항생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 항균 치료제입니다. 이번 글은 미국 특허 출원 및 등록, 임상 현황, 글로벌 시장 전략, 경쟁 우위, 주가 차트와 재무 정보까지 통합적으로 분석합니다.

1. 인트론바이오 신약 3종 개요

GN200: 엔도리신 기반 단백질 치료제로 CRE, CRAB 등 그람음성 다제내성균에 효과. 세포벽+외막 동시 타겟으로 30분 내 고효능 박멸 가능.

SAL200: 파지 유래 도메인 변형 항균 단백질. 2022년 1월 미국 FDA 임상 2상 IND 승인, 스위스 제약사와 기술이전 옵션 계약 체결.

PKL200: 병원성 세균 표적 분해력이 강화된 단독/병용 투여 가능한 반복 투약용 선도물질.

인트론바이오 네이버금융 정보확인하러가기

2. 미국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

  • SAL200 특허 공개번호 확보,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알균 및 동결건조 제형 보호.
  • GN200에는 “그람음성균 세포벽 분해 가능한 엔도리신” 구조 청구권 포함.
  • SAL200은 2038년까지 특허 보호가 연장됨.

3. 임상 현황 요약

신약명 임상 단계 적응증 최근 진전
GN200 전임상 CRE, CRAB 독성·약효 테스트 진행 중
SAL200 임상 2상 IND 승인 MRSA·VRSA 균혈증 미국 임상 2상용 의약품 확보
PKL200 전임상 병원성 세균 병용·단독 투여 전략 설계 완료

4. 시장 규모와 글로벌 전략

글로벌 항생제 시장은 2023년 약 456억달러, 2032년까지 연평균 3.3% 성장해 약 609억달러 규모로 전망됩니다.

항생제 내성·신약 시장은 2022년 46억달러에서 2032년 95억달러까지 연평균 7.6% 성장 전망입니다.

5. 규제·지원 제도 및 IP 전략

  • 미국 FDA는 혁신 항균제에 fast-track 지정 및 조기 승인 가능성 제공.
  • CARB-X 같은 글로벌 펀드 및 한국 정부 자금 수혜 가능.
  • PCT → 미국·유럽·일본 등 다지역 IP 전략으로 권리 확보 중.

6. 경쟁우위 분석

엔도리신·파지 유래 치료제는 기존 항생제보다 내성 유도 위험이 낮고, 제형·포뮬레이션 IP까지 포함한 다층적 보호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7. CEO 인터뷰와 비전

“Basilea는 상업화 경험이 풍부한 파트너로, Phase 2 성공 확률을 높일 것으로 자신합니다.” — 윤경원 CEO
“First-in-class 지위를 우선시하고, 2040년까지 보호할 수 있는 특허망을 다각도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 강상현 CTO

8. 시사점 및 전망

특허 확보는 글로벌 라이선싱·기술이전 협상력의 핵심이며, FDA 전략적 승인 활용 시 상업화 속도도 기대됩니다.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인트론바이오의 전략적 방향은 경제·공공보건 관점에서도 시의적절합니다.

9. 주가 차트 및 재무 분석

인트론바이오 주가 차트

이미지 출처: 네이버 금융

기술적 지표
항목 내용
현재가 4,380원 (+2.22%)
최근 캔들 장대 양봉 (매수세 유입)
5일선 우상향 전환
20일선 돌파 시도
60일·120일선 중장기 하락세 유지
최근 고점 4,870원 (5월 30일)
최근 저점 3,475원 (4월 4일)
거래량 1,542,625주 (급증)
특이사항 단기 반등세 + 기술이전 기대감
기술적 해석
  • - 단기 매수세 유입이 뚜렷하며, 장대 양봉과 거래량 급증은 단기 반등 신호.
  • - 60일선과 120일선 하락세 유지 → 중장기 약세 흐름 지속.
  • - 4,800원 돌파 시 중기 전환, 4,000원 이탈 시 기술적 지지 약화 가능성.
  • - 중장기 관점: 4000원 이하에서 관심
    기본적 해석
  • - 적자 상태 지속으로 실적 기반 투자 매력은 낮음.
  • - 특허, 임상, 기술이전 등의 비재무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는 흐름.
  • - 이벤트 드리븐 특성이 강하므로 변동성 대응 필요.
기본 재무 지표
항목 내용
시가총액 1,499억 원
PER -17.05 (적자)
PBR 1.80배
EPS -257원
BPS 2,439원
52주 고가/저가 7,050원 / 3,350원
투자 포인트 슈퍼박테리아 신약 개발, 미국 특허, 기술이전 기대
리스크 요인 실적 부진 지속, 기술 임상 불확실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