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이재명 대통령은 ‘탈플라스틱 사회 전환 종합 로드맵’을 발표하며 대대적인 친환경 정책 전환을 공식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친환경 소재·재활용 기술 관련 기업들이 정책 수혜 기대감에 급등하며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수혜가 가능한 종목들을 실적·경쟁력 기반으로 선별하고, 투자 전략까지 전문가 관점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
📌 목차
클릭하여 목차 보기
📢 이재명 정부 탈플라스틱 정책 개요
2025년 7월 3일, 정부는 '탈플라스틱 사회 전환 종합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이 로드맵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하반기부터 PET병 재생원료 의무화 시행
- 2026년부터 전기·전자제품 회수·재활용 의무화
- 2030년까지 폐플라스틱 사용량 50% 감축 목표
📆 탈플라스틱 정책 실현 타임라인
연도 | 내용 |
---|---|
2025년 하반기 | PET병 재생원료 의무화 시작 |
2026년 | 전기·전자제품 재활용 제도 도입 |
2027~2029년 | 친환경 소재 기업 확대 지원 |
2030년 | 폐플라스틱 사용량 50% 감축 목표 |
📈 탈플라스틱 수혜주 총정리
기업명 | 주요 사업 및 수혜 포인트 |
---|---|
삼륭물산 | SR테크노팩 통해 친환경 PET 필름 생산. 식품포장재 중심 수요 확대. |
세림B&G | 생분해 포장재 전문. 멀칭필름, 진공성형 제품 다각화 중. |
진영 | 바이오 플라스틱 시트 및 재활용 소재 개발. 정책 핵심 테마 기업. |
한국팩키지 | 종이팩 전문 제조. 플라스틱 대체 포장재 시장 선점. |
에코플라스틱 | 자동차 경량화 및 친환경 플라스틱 부품 공급. |
그린케미칼 | PEG, EOA 등 바이오 원료 기반. 미국·유럽 수출 비중 확대. |
코오롱ENP | 재활용 가능한 POM, KOPEL® 등 고기능 소재 보유. |
씨티케이 | 폐플라스틱 화학 재활용 기술 상용화 중. ESG 자금 수혜 기대. |
💼 종목별 실적 및 수출경쟁력 분석
삼륭물산

출처: 네이버금융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 940억 원, 영업이익 58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재생 PET 필름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요 확대가 기대됩니다.
그린케미칼

출처: 네이버금융
PEG, EOA 등 바이오 화학 소재를 중심으로 매출을 구성하고 있으며, 미국·유럽 수출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수출 모멘텀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세림B&G

출처: 네이버금융
2024년 개별 기준 매출 554억 원, 영업이익 30.8억 원. 수익성은 감소했지만, 생분해 필름·멀칭 필름 등으로 제품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코오롱ENP

출처: 네이버금융
세계 최대 수준의 POM 생산설비(연간 15만톤) 보유. KOPEL® 등 바이오 기반 소재 출시로 친환경 제품군을 강화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50~80% 수준으로 글로벌 ESG 트렌드 수혜가 기대됩니다.
🔍 주목할 투자 포인트
- 정책+기술+실적 갖춘 구조 성장주 중심 접근
- 글로벌 ESG 연계된 수출 기업에 주목
- 기관/외국인 수급 흐름 점검: 세림B&G 외국인 순매수 집중
⚠️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
- 단기 급등 후 고점 리스크 유의
- 정책 세부안 발표 시점과 실현 속도 주시
- 실적과 연결되지 않은 기대감만 있는 종목은 주의
🧭 마무리 및 요약
2025년 탈플라스틱 정책은 국내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관련 수혜주는 단기 급등 후 변동성이 존재하지만, 실적과 기술력을 겸비한 기업 중심으로 선별한다면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삼륭물산, 코오롱ENP, 그린케미칼 등은 특히 주목할 만한 종목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케이웨더 공기 빅데이터와 AI 플랫폼 기업으로의 진화 (5) | 2025.07.11 |
---|---|
[기업분석] 뉴엔AI, 왜 주목받는가? 비정형 데이터 분석 AI의 강자 (3) | 2025.07.10 |
[공시분석] ADC 플랫폼 기술 실시권 계약 해지…인투셀의 기술과 기업가치, 그 의미는? (4) | 2025.07.10 |
자사주 매입: 기업이 자사주를 사들이는 5가지 이유와 투자자에 대한 영향 (3) | 2025.07.09 |
[공시분석] 한번에 목표 맞춤! LS마린솔루션 939억 공급계약 체결! (1)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