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기
유니테스트 주가, 지금이 저점일까? HBM4 기대주로 떠오른 이유는? 최근 유니테스트(086390)가 SK하이닉스의 HBM4 성능평가를 통과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기업으로서의 기술력, 주가 급등 배경, 그리고 재무 리스크까지—지금 유니테스트를 둘러싼 다양한 이슈를 꼼꼼히 분석해봅니다. 이 글에서는 유니테스트의 기업 개요부터 최신 주가 흐름, 향후 실적 전망까지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소개
설립 및 성장 배경: 유니테스트는 2000년 설립, 2006년 코스닥 상장 후 국내 최초로 반도체 검사장비 국산화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사업 분야: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검사장비(번인 테스터, 컴포넌트 테스터) 생산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태양광) 검사장비도 병행합니다.
주요 제품 및 자회사: UNI530, UNI880E 등 고부가 검사장비 보유. 대만, 미국 등 글로벌 자회사 운영.
임직원 및 본사: 약 200여 명 규모,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본사 운영.
최근 실적 및 재무
출처: 네이버 금융
2025년 1분기: 매출 148.6% 증가, 영업손실 49.8% 감소, 순손실 38.2% 감소.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의 영향.
2023년 연간: 매출 1,678억 원(+36%), EPS 332원으로 흑자 전환.
재무 지표: 2025년 3월 기준 EPS –168원, PBR 2.93배, ROE –19.9%, EV/EBITDA –15배 수준.
주가 흐름
출처: 네이버 금융
현재 주가: 13,090원 (52주 최고 15,130원, 최저 7,470원). 최근 일중 강한 변동성.
기술적 지표: RSI 54.4, 거래량 급증, 기술적 분석 '적극 매수'.
중장기 흐름: HBM4 수주 이후 반등. 3D NAND 수요 증가에 따른 소재·장비주 수급 집중.
산업 환경 및 경쟁상황
업계 동향: 차량용·CIS·PMIC 등 글로벌 반도체 수요 확대. 유니테스트는 고속 신호·온도 제어 기술로 경쟁 우위 확보.
경쟁사 비교: 원익QnC, 한양이엔지와 경쟁하며 차별화된 R&D 전략과 특화 장비로 대응. 단, 재무 점수는 평균 이하.
투자 포인트 및 전략
- 긍정 요인: 고부가 검사장비 수요 확대, 실적 회복 기대, 기술적 강세
- 리스크 요인: ROE –20%, 높은 PBR, 글로벌 경기 둔화 시 실적 민감
- 전략: 단기 - HBM4 공급 전후 단기 매매, 중장기 - 2분기 실적 확인 후 분할 매수
- 손절/목표: 손절 11,000~11,500원, 목표가 15,000~16,000원
최근 이슈
SK하이닉스의 HBM4 성능평가(Qual)를 최초 통과하며, 유니테스트는 공급망 진입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양산평가는 8월 발표 예정이며, 성사 시 실적과 수익성 개선 기대가 큽니다.
또한 7월 16일 주가는 +11.46% 급등하며 VI가 발동되었고, 5월·6월에도 각각 +16.85%, 상한가 급등하며 시장 주도주로 떠올랐습니다.
요약 정리
- 기업 역량: 검사장비 국산화, R&D 중심, 자회사 다각화
- 실적 개선: 2023년 흑자 전환, 2025년 실적 회복 추세
- 매매 시그널: 거래량 증가, 기술적 지표 강세
- 투자 포인트: HBM4 수요, 실적 레버리지
- 리스크: 부채 부담, 밸류에이션 우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분석] KT 정보보호 1조 투자, 실제 수혜 기업은 어디일까? (4) | 2025.07.15 |
---|---|
탈플라스틱 정책 수혜주 총정리|2025 이재명 정부 발표로 주목받는 종목들 (5) | 2025.07.14 |
[기업분석] 케이웨더 공기 빅데이터와 AI 플랫폼 기업으로의 진화 (5) | 2025.07.11 |
[기업분석] 뉴엔AI, 왜 주목받는가? 비정형 데이터 분석 AI의 강자 (3) | 2025.07.10 |
[공시분석] ADC 플랫폼 기술 실시권 계약 해지…인투셀의 기술과 기업가치, 그 의미는? (4) | 2025.07.10 |